TIL

    [TIL - 20230411] yml의 DB 정보 .gitignore 등록

    💻문제점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mariaDB까지 연결했다. 해당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리려고 했는데, 문득 application.yml 에 DB 비밀번호가 있는 것을 떠올렸다. .gitignore에 등록하면 될 것 같은데, application.yml 파일을 모두 올릴 수는 없었다. 📃시도 application.yml에서 DB 부분만 .gitignore에 올릴 수 있나 생각해봤지만, 해당 줄만 등록할 수 있을리가... application.yml 파일을 분리할 수 있나? 방법을 찾아보았다. 🔍해결 DB 관련 내용을 가지는 yml 파일을 따로 생성하여 해당 파일만 .gitignore에 등록해주면 된다. 자세한 해결 방법은 따로 게시글로 정리해두었다. https://yeon-dev.tistory...

    [TIL - 20230410] DAO, DTO, VO

    🤦‍♀️의문점 서블릿으로 구현하면서 DAO, VO, DTO에 대해 궁금점이 생겼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어렴풋이 느낀건, DAO는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하여 처리하는 로직을 작성하고, VO는 getter만 가지는 읽기 전용, DTO는 getter/setter를 가지고, 데이터 전달?용 데이터 주거나 받을 때 사용하는 것 같은데. VO랑 DTO의 차이를 명확히 모르겠다. DTO와 VO를 꼭 따로 작성해야 할까? 스프링 부트에서는 Entity라는 개념을 사용했는데 무엇이 다르지? DTO와는 왜 분리해? slf4j랑 Log4j2가 뭐가 다르지? 💡알게 된 점 DAO, DTO, VO 그리고 Entity DAO(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

    [WIL - 20230409]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이다.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지는 객체를 만들고,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추상화, 캡슐화, 다형성, 상속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클래스 단위로 모듈화 시켜 개발하기 때문에 업무 분담이 편리하고, 클래스 단위로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클래스를 재사용하거나 상속을 통해 확장함으로써 코드 재사용성이 높다. 하지만, 설계에 많은 시간이 들고, 처리 속도가 다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비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JVM JVM은 자바 가상 머신 Java Virtual Machine 을 의미한다. JVM은 JRE를 설치할 때 함께 ..

    [TIL - 20230407]

    💻문제점 maven으로 서블릿 프로젝트를 잘 못 생성해서 build.gradle 파일에 jspl dependencies를 추가해야 하는데 추가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도 우선 프로젝트의 터미널을 git bash로 설정하고, 로컬에 gradle을 깐다. git bash에 gradle init --type pom 입력하면 gradle 관련 파일들이 생성된다. 우측에 gradle 메뉴도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 mvnw, mvnw.cmd, pom.xml 파일을 삭제하고 프로젝트를 재실행해봤는데, 실행이 되지 않았다. 🔍해결 가장 간단한 방법은 gradle로 다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안에 파일이 많은 것도 아니었고, 스터디 시간도 많이 남지 않았어서 다시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을..

    [TIL - 20230403]

    😊 잘한점 나중에 프로젝트 때 한 번은 mariaDB를 쓸 것 같아서 미리 연동해보았다. 이제는 로그인 해봐야지! 🤔 개선할 점 늦게 자면 다음날 공부가 너무 힘들다. 1시 전에는 자는게 좋을 것 같다. 🧐 배운점 SpringBoot와 mariaDB 연동해서 데이터 추가 테스트까지 해보았다. 오늘은 백트래킹 알고리즘을 처음 풀었다. 백준에서 n과 m 문제를 차근차근 풀면서 익혀나갈 예정이다. https://yeon-dev.tistory.com/140 [Spring]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MariaDB 사용하기, 간단한 테스트 SpringBoot 프로젝트에 MariaDB를 사용하려면 일단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한다. 1. 데이터베이스 생성 MariaDB를 설치하면 같이 깔리는 HeidiSQL..

    [TIL - 20230324]

    😊 잘한점 git 관련 자료를 주셨는데, 다행히 나는 git을 쓰고 있는 중이라 쉽게 과제를 제출할 수 있었다. 자료는 소스 트리 위주로 알려줬는데, 나는 git bash를 사용하고 있다. 졸업작품 때 git을 맡은거랑, git 시험?? 같은거 봐본 경험이 잘 남아있는 것 같다. 🧐 배운점 어제 계속 ERD 공부하면서 의문이 들었던걸 기술 매니저님한테 전부 질문했다! One to One 관계와 One and Only One 관계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알게 됐고, 관계를 표현하는데에 있어서 이해가 잘 됐다. 비식별 관계와 식별 관계가 무엇인지, 어떤걸 실선으로 표현하고 점선으로 표현할지 잘 알게 되었다.

    [TIL - 20230323]

    😊 느낀점 SQL 문제 3레벨 까지 다 풀었다! 이제 금요일까지는 내 공부해야지. 다음주면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때문에 미리 데이터 모델링과 ERD에 대해서 공부할겸 블로그 글을 썼다. (아직 다 못씀...) 여러 블로그를 보면서 공부하고 내 언어로 정리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정리하면서도 이게 맞나 싶고.. 글을 쓰면 기술매니저님께 여쭈어 봐야겠다... 🤔 개선할 점 오늘 할 일을 다하면 더 공부하기가 싫다... 내일 할 거 미리 하면서 더 공부하면 되는데. 머리는 그러라고 하지만, 몸은 그렇지 않다 ㅋㅋㅋㅋ 꾸역꾸역 내일 할 공부말고 다른 공부를 찾는다... 그렇게 데이터 모델링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 배운점 다른 프로젝트를 보면서 모델링 설계 사진을 보면서, 나도 프로젝트 시작할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