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TIL - 20230403]
😊 잘한점 나중에 프로젝트 때 한 번은 mariaDB를 쓸 것 같아서 미리 연동해보았다. 이제는 로그인 해봐야지! 🤔 개선할 점 늦게 자면 다음날 공부가 너무 힘들다. 1시 전에는 자는게 좋을 것 같다. 🧐 배운점 SpringBoot와 mariaDB 연동해서 데이터 추가 테스트까지 해보았다. 오늘은 백트래킹 알고리즘을 처음 풀었다. 백준에서 n과 m 문제를 차근차근 풀면서 익혀나갈 예정이다. https://yeon-dev.tistory.com/140 [Spring]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MariaDB 사용하기, 간단한 테스트 SpringBoot 프로젝트에 MariaDB를 사용하려면 일단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한다. 1. 데이터베이스 생성 MariaDB를 설치하면 같이 깔리는 HeidiSQL..
[Spring]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MariaDB 사용하기, 간단한 테스트
SpringBoot 프로젝트에 MariaDB를 사용하려면 일단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한다. 1. 데이터베이스 생성 MariaDB를 설치하면 같이 깔리는 HeidiSQL을 켜보자. 세션이 없으면 새로 생성하면 되고, 이미 있다면 MariaDB 설치시 등록했던 암호를 입력한다. 우클릭 > 새로 생성 > 데이터베이스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나는 test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것이다. 2.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나는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dependencies에 MariaDB Driver를 추가했다. 아니면, 따로 build.gradle에 dependencies를 추가해주어도 된다. 프로젝트는 start.spring.io 에서 생성했다. 3. application.y..
[MariaDB] 설치 시, 3306 Port 문제 해결 방법
MairaDB를 설치하려는데, 3306 Port가 이미 사용 중이라고 하길래, 해결 방법을 찾아보았다. 1. 리소스 모니터 실행 2. 네트워크 > 수신대기 포트 탭 해당 탭을 열어 3306 포트를 사용 중인 것을 찾으면 된다. 현재 이미 문제가 해결된 상태라 mysqld.exe라고 적혀있는데, 해결하기 전에는 mysql.exe 였다. 3306포트를 찾았으면 해당 PID를 기억해둔다. 3.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아까 기억해둔 PID를 통해 다음과 같이 cmd에 작성한다. taskkill /F /PID [PID번호] 만약 PID가 1234이었으면 taskkill /F /PID 1234 으로 입력하면 된다. 이 명령어를 치면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 되었다고 뜰 텐데, 이제 다시 MariaDB 설치화면으로..
[TIL - 20230324]
😊 잘한점 git 관련 자료를 주셨는데, 다행히 나는 git을 쓰고 있는 중이라 쉽게 과제를 제출할 수 있었다. 자료는 소스 트리 위주로 알려줬는데, 나는 git bash를 사용하고 있다. 졸업작품 때 git을 맡은거랑, git 시험?? 같은거 봐본 경험이 잘 남아있는 것 같다. 🧐 배운점 어제 계속 ERD 공부하면서 의문이 들었던걸 기술 매니저님한테 전부 질문했다! One to One 관계와 One and Only One 관계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알게 됐고, 관계를 표현하는데에 있어서 이해가 잘 됐다. 비식별 관계와 식별 관계가 무엇인지, 어떤걸 실선으로 표현하고 점선으로 표현할지 잘 알게 되었다.
[DB] ER 다이어그램 그리기 & 데이터 모델링 3단계 예시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이란 정보시스템 구축의 대상이 되는 업무 내용(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정해진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를 추상화한 데이터 모델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게 된다. 왜 중요할까? 데이터 모델링을 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것은 건축가가 설계도 없이 집을 짓는 것과 같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탄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데이터 모델링을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개발 오류가 감소하고,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생성 속도와 효율성이 촉진된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후에도 디버깅 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설계도 역할을 한다.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ER..
[TIL - 20230323]
😊 느낀점 SQL 문제 3레벨 까지 다 풀었다! 이제 금요일까지는 내 공부해야지. 다음주면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때문에 미리 데이터 모델링과 ERD에 대해서 공부할겸 블로그 글을 썼다. (아직 다 못씀...) 여러 블로그를 보면서 공부하고 내 언어로 정리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정리하면서도 이게 맞나 싶고.. 글을 쓰면 기술매니저님께 여쭈어 봐야겠다... 🤔 개선할 점 오늘 할 일을 다하면 더 공부하기가 싫다... 내일 할 거 미리 하면서 더 공부하면 되는데. 머리는 그러라고 하지만, 몸은 그렇지 않다 ㅋㅋㅋㅋ 꾸역꾸역 내일 할 공부말고 다른 공부를 찾는다... 그렇게 데이터 모델링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 배운점 다른 프로젝트를 보면서 모델링 설계 사진을 보면서, 나도 프로젝트 시작할테니..
[DB/SQL] UPPER/LOWER 대소문자 구문 없이 LIKE 사용하기
SQL 문제를 풀다보면 '대소문는 구분하지 않습니다.' 라고 적혀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대소문자 구분없이 LIKE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UPPER() UPPER()를 사용하면 해당 문자열을 모두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UPPER([문자열]) 대소문자 구분 없이 이름에 'se'가 들어가는 데이터를 찾는다고 했을 때, UPPER()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 FROM USER_NAMES WHERE UPPER(NAME) like UPPER('%se%') LOWER() LOWER()를 사용하면 해당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변환합니다. LOWER([문자열]) 대소문자 구분 없이 이름에 'Se'가 들어가는 데이터를 찾는다고 했을 때, LOWER()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