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잘한점
예전에 풀어보았던 백준의 '베르트랑 공준' 문제와 '소수 구하기' 문제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라는 것을 몰라 헤매었던 경험이 있다. for문을 돌려 소수를 찾자니, 시간 초과 문제가 발생했고, 소수 찾는 알고리즘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공부한 후 해결할 수 있었다. 오늘 java 알고리즘 스터디에서 위 두 문제를 마주쳤다.
소수 문제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하면 되겠다! 단순히 생각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코드를 작성해보았을 때,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구현해낼 수 있었다는 점이 뿌듯했다.
파이썬으로 작성한 관련 게시글이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java로 해결하는 방법도 올려볼까 생각 중이다.
https://yeon-dev.tistory.com/61
[파이썬] 소수 판별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1. 소수를 구하고자 하는 범위를 2부터 나열 2~n 사이의 소수를 구하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이 나열합니다. 0과 1은 False로 두고, 2~n-1개까지 True로 둡니다. a = [False,False] + [True]*(n
yeon-dev.tistory.com
🤔 개선할 점
구현 문제나, 시뮬레이션 문제는 특정 알고리즘이나 공식보다는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많아서 괜히 피하게 되는 것 같다. 최근 들어 자료구조 문제를 많이 풀었는데 유형 편식하지 않고 부족한 부분을 더 열심히 파고 들어야겠다.
dp 알고리즘 또한 개념 자체가 어려워 아직 문제 풀이를 한 경험은 없는데, 스터디 진행을 위해 빨리 관련 개념을 습득해야겠다.
🧐 배운점
페어프로그래밍이라는 것 자체가 낯설고 어렵다. 아직은 혼자 문제를 풀이하는 것이 편하지만, 같이 문제를 읽고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면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알 수 있었다. 백준 문제를 풀이한 후 다른 사람 풀이를 보며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함께 소통하는 것 자체로 지루할 수 있는 알고리즘 공부에 즐거움이 되어주는 것 같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0230311] (0) | 2023.03.11 |
---|---|
[TIL - 20230310] (0) | 2023.03.10 |
[TIL - 20230309] (0) | 2023.03.09 |
[TIL - 20230308] (0) | 2023.03.08 |
[TIL - 20230307] (0) | 2023.03.07 |